- 올해부터 연간 15㎿ 규모 생산
하루 수소 43㎏ 생산
수소전문기업 지필로스가 그린수소 생산의 핵심인 수전해시스템 제조공장을 구축해 P2G(Power to Gas) 통합시스템 기술의 퍼즐 완성에 한 걸음 다가섰다.
㈜지필로스(대표 박가우)는 최근 청정수소 생산 기반 시설인 수소용품 제조공장을 완공하고 사업개시 신고를 마쳤다고 밝혔다.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력을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하는 방식으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기술이다. 특히 그린수소 생산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하는 추세이며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 또한 수전해를 통한 그린수소 생산 비율 확대를 추진 중이다.
지필로스는 수원시 고색단업단지에 모듈타입의 수전해시스템(ALK 타입 100㎾∼1㎿급, PEM 타입 100㎾) 제조공장을 구축하고 올해부터 15㎿ 규모를 생산할 계획이다.
대표 제품인 ‘ALK Linked 100㎾’는 10㎾ 수전해 연료전지 스택을 각각 모듈화하고 총 10개의 모듈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집약한 수전해장치이다. 순수 10ℓ당 1㎏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수소 순도는 99.999%에 달해 뛰어난 안정성과 효율(53.86㎾h/㎏)을 겸비한 것이 특징으로 수소생산량은 100㎾ 기준으로 하루에 43㎏(20Nm3/hr)으로 수소차 8.5대를 충전 할 수 있는 용량이다.
회사 경영지원팀 엄규문 상무는 “2021년 4월 국내 최초로 제주 상명풍력단지의 잉여전력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시스템 구축과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지만 나름 아쉬움도 남았다”고 말하며 “지필로스는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P2G통합시스템의 설계와 시공, 운영솔루션(PMS) 그리고 에너지버퍼장치와 전력공급시스템 등의 기술을 가졌지만 막상 청정수소 생산의 핵심 기술인 수전해 제조 기술력을 미처 확보하지 못한 아쉬움이 컸다”고 덧붙였다.
지필로스는 수존해 제조기술 확보를 위해 약 2년간 연구에 몰두, 그 결과 지난해 9월 수전해시스템(ALK Linked 100㎾∼1㎿, PEM 100㎾)을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에 성공했다.
엄 상무는 “제주 상명풍력단지 그린수소생산을 실증하면서 축적한 기술력과 노하우가 밑거름이 됐다”며 “수전해시스템의 최적 운전조건과 생산 및 경제성 등 그간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 중인 제주 행원 3.3㎿급 그린수소 생산 실증과 12.5㎿ 그린수소 생산 실증에 계속 참여하게 됐고 자체 기술력으로 수전해시스템도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소용품 제조공장 구축에 대한 애로사항도 존재한다. 지필로스는 당초 용인본사 옆 2공장에 제품생산설비를 구축하려했으나 수소용품 제조사업이 ‘첨단업종’에 포함돼 있지 않아 수원에 이번 공장을 지었다. 지필로스 본사가 있는 용인시 언남동은 자연녹지지역으로 첨단업종만 사업이 가능하다. 이에 지필로스는 수원산업단지 내 임대할 수 있는 부지를 찾고 생산시설을 구축했다. 다만 공장이 들어선 단지는 수십㎿급 규모의 수전해시스템을 생산하기엔 작은 시설이다. 더 큰 규모인 용인 제2공장(약 50억원 투입)을 활용하기 위해선 수전해 설비가 산업통상자원부 첨단업종코드에 들어가야 한다.
박가우 지필로스 대표는 “수소사업이 첨단업종에 포함되는 것은 수소경제 활성화에 큰 추진력이 될 것”이라며 “올해는 산업부 첨단업종이 개편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표흔 “지자체 수소경제 정책과 맞물려 여타 부지를 확보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며 “지난해 11월 산업부가 산업현장 규제·투자애로 사항 해소를 위해 지필로스를 방문했을 이같은 애로사항을 건의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필로스는 수원공장에서 제품 제조 뿐 아니라 제주시 구좌읍에 위치한 행원 수전해 실증단지를 지난해 4월 완공하고 시운전과 안전성 검사, 품질 검사를 거쳐 순도 99.999%의 그린수소를 하루 200㎏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된 그린수소는 튜브트레일러로 인근 함덕그린수소충전소로 보내 수소버스 운행에 사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소경제 실현에 있어 그린수소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큰 만큼 오는 2026년까지 제주도에 12.5㎿급의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이 계속 진행될 계획으로 지필로스는 수소용품 제조공장에서 만든 2㎿급의 수전해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해 올해 3월까지 KGS로부터 100㎾급 수소용품 제품인증을 획득하고 지속적으로 생산설비 규모를 확장, 1㎿급 수전해제품 인증까지 획득할 계획이다.
김호준 기자 reporter@igasnet.com